-
시조새의 출현과 정체 - 드라마에 등장한 시조새Science Story 2022. 4. 1. 00:32반응형
시조새의 정체
얼마 전 우연히 어느 TV 드라마에서 남자 주인공을 시조새에 빗대어 코믹하게 묘사한 것을 본 적이 있습니다. 시조새를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마주치니 반가운 마음이 들어 오늘은 시조새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시조새 화석 시조새(archaeopteryx)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현존하는 새의 최고(最古)의 조상쯤 되는 동물입니다.
시조새는 조류와 파충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는데요. 조류는 쉽게 말해 참새, 제비, 비둘기 등 새와 같은 동물을 말합니다. 파충류는 뱀, 도마뱀, 이구아나 등과 같은 동물을 말합니다.
시조새에게 부리가 있고 날개에 깃털이 달려 있었던 것은 조류인 새와 비슷한 특징이고, 부리 속에 이빨이 있고 꼬리뼈가 있으며 날개 끝에는 발가락과 발톱이 붙어 있었던 것은 파충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시조새는 조류와 파충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기에 진화의 관점에서 아주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기도 합니다.
시조새처럼 지질 시대와 같이 매우 오래전 과거에는 살았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동물을 일컬어 화석 동물(생물)이라고도 부릅니다.
시조새의 몸길이는30~50cm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머리가 작고 눈이 컸다고 합니다.
날개가 있었지만 신체 구조상 새처럼 날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하는데, 아마도 활강하는 형태로 비행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드라마에서는 별명이 시조새인 남자 주인공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때면 ‘까악까악’ 하는 소리와 함께 시조새 모습이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납니다.
(출처: SBS 드라마 '사내맞선') 이때 등장하는 시조새의 모습은 현재 남아 있는 시조새 화석을 통해 복원한 모습일 겁니다.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다양한 시조새 이미지를 찾을 수 있지만, 어느 것이 실제 시조새의 모습과 가까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시조새의 발견
현재 남아 있는 시조새 화석은 몇 점 되지 않습니다.
중생대 쥐라기 시대 지층에서 시조새 화석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시조새 역시 쥐라기 때 살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간혹 책에 따라서는 시조새를 중생대의 표준 화석으로 서술하고 있기도 한데,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어느 특정 지질 시대에만 살았던 생물로 해당 화석이 발견되는 지층의 시대를 우리에게 알려 줄 수 있어야 표준 화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조새가 중생대 쥐라기에 살았던 것은 사실이나, 표준 화석의 조건에는 부합하지 않습니다. 어느 한 지질 시대의 표준 화석이 되려면 전 지구 상에 널리 살고 있어야 하고 개체수도 아주 많아야 합니다. 하지만 시조새는 그렇지 못합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시조새 화석의 수는 12개에 불과하고, 발견되는 지역 역시 서유럽 일부에 국한됩니다.
시조새의 학명인 Archaeopteryx는 ‘고대의 날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조새 화석이 최초로 발견된 곳은 독일 남부 지방의 어느 한 채석장으로, 이때 발견된 시조새 화석의 연대는 약 1억 5천만 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당시 유럽의 위치는 적도 근처 열대의 얕은 바다였을 것입니다. 이후 대륙의 이동으로 현재의 위치가 되었을 겁니다.
시조새의 정체
과거에는 이빨, 비늘, 깃털이 모두 있어서 시조새를 파충류에서 조류로 진화하는 중간 단계의 생물로 여겼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시조새 역시 (다른 파충류나 조류와 마찬가지로) 같은 조상에서 나온 분화의 한 갈래일 뿐이라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다시 말해, 어느 한 생물에서 다른 생물로 가는 중간 단계의 생물로 시조새를 간주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입니다.
시조새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으므로, 언젠가는 시조새의 명확한 정체가 밝혀지지 않을까 합니다.
드라마에 등장한 시조새
시조새가 등장하는 드라마는 최근 높은 인기 속에 방영되고 있는‘사내맞선’입니다. 시조새를 닮았다는 남자 주인공은 안효섭이라는 배우가 맡고 있습니다. 시조새를 닮았다고 하기에는 꽤나 미남 배우인데, 드라마 속 설정이 재미있네요. 유쾌하게 볼 수 있는 드라마인 것 같습니다. SBS를 통해서 방영 중인 '사내 맞선'은 웨이브나 넷플릭스를 통해서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SBS 드라마 '사내맞선') 반응형'Scienc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권의 층상 구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0) 2022.04.01 우리나라의 국가지질공원 (0) 2022.03.31 지구 내부 구조는 어떻게 알아냈을까? (0) 2022.03.31 지구 내부 구조 (지권의 층상 구조): 지각, 맨틀, 외핵, 내핵 (0) 2022.03.31 과학 & (0) 2022.03.31